티스토리 뷰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은 혈전, 부종, 뇌출혈, 척수염, 사지마비, 사망에 이르기까지 합니다. 젊은층에서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 최근에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나이를 50세 이상이 접종할 수 있도록 상향조정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유형으로 우리몸에 원인이 되는 균이나 바이러스 성분을 넣고 일부러 감염시켜서 항원을 만듭니다.

 

항체형성기간이 지나면 면역력이 만들어 지는 원리입니다.

 

이후 다시 그러한 원인 균주가 들어오면 몸의 면역력이 반응하여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인데, 사람마다 이상반응의 차이가 있어 코로나 백신 접종 후에는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백신별로 나타난 부작용 증상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접종 후에 근육통 35.6%> 두통 30.8%> 발열 18.8%로 나타났고, 화이자는 근육통 24.2%, 얀센은 두통 33.9%, 모더나는 근육통 32.1% 보고되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증상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증상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증상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증상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증상

 

심한 두통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

 

진통제 효과 없음

 

구토 동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호흡불편, 호흡곤란

 

지속적인 복부 통증

 

팔/다리 부기

 

접종부위가 아닌 부위에서 멍, 출혈 발생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사망 사례

 

  • 인과성이 인정된 사례

 

-인과성이 인정된 사망 1건으로, 30대 초반 남성이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으로 사망한 건입니다.

 

접종 9일 후 약물처방,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고 상급병원에서 치료받다가 결국 숨졌습니다.

 

 

 

-인과성을 인증받은 중증 사례는 3건으로,

 

-20대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 : 뇌적맥동혈전증 진단

 

-요양시설 접종자 : 발열, 경련, 혈압 저하 증상

 

-30대 취약시설 종사자 : 국내에서 처음으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확인

 

 

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사망사례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사망사례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사망사례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사망

 

  • 인과성이 인정안된 사례

 

-40대 여성 간호조무사 -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으로 사지마비 발생

 

 

-얼마전 청와대 게시판에 올라온 내용으로 60대 남성이 아스트라제네카 1차 접종 후 9일만에 사망했다고 합니다.

 

접종 후 2일 후 메스꺼움, 어지럼증을 호소했고, 호흡곤란으로 실신한 후 사망으로 이어진 안타까운 내용입니다.

 

 

-전 강원도 삼척부시장이 아스트라제네카 1차 백신접종 후 장염증세로 입원, 급성뇌경색 혈전과 뇌손상으로 병원에서 쓰러져 치료를 받다가 사망하는 기사가 보도되었습니다.

 

 

-제주에서 60대 여성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구토와 몸살증세를 보여 타이레놀 처방과 함께 사흘 후 수액 처방도 받았다고 합니다.

 

평소 지병이 없었는데 접종 일주일이 지나고 나서 몸살과 구토 증세를 반복하다 결국에는 뇌출혈이 발생한 후 끝내 숨지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증상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증상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증상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증상

 

  • 일반적인 이상반응 증상 사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다리가 붓고, 얼굴과 손이 계속 붓는다.

 

살짝 두통이 오고 속이 울렁거리고 안좋았다.

 

팔/다리가 굉장히 저렸다.

 

주사 맞은 부위는 살짝 스쳐도 많이 아팠다.

 

오한이 왔고 어지러웠다.

 

극심한 몸살, 고열이 왔다.

 

근육통, 두드러기가 생겼다

 

저희 아버지는 특이하게도 변비가 왔었는데, 다행히도 시간이 지나서 괜찮아 지셨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혈전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혈전아스트라제네카-부작용-혈전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혈전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혈전 발병 확률

 

통계적으로 100만 명당 1명 정도로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지만, 실제로 혈전이 발생한다 했을 때 백신과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이 있습니다.

 

혈소판 감소로 출혈과 혈전증이 동시에 생기며, 백신 접종 후 4일~4주 사이에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백신 접종 후 7일 이후에도 부작용 이상반응이 보고되는 경우가 3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분 일반 혈전증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발생부위 동맥 (뇌동맥/관상동맥)


정맥(하지 심부정맥/폐동맥)
뇌정맥동 및 내장정맥


하지정맥 등에도 침범가능
발생기전 혈액흐름의 정체
혈관손상
탈수/자가면역질환/여성호르몬제 등 약물
백신과 연관된 자가면역질환 추정

질병관리청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더보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부작용으로 희귀 혈전증 발생 우려가 제기되면서 질병관리청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연령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30세 이상-> 50세 이상만 접종 가능

 

2차 화이자 교차접종

 

1차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한 50세 미만은 2차에 화이자 백신을 맞게 됩니다.

 

 

모더나 백신 부작용 심근염

2021년 7월 26일(월)부터 50대가 접종받게 되는 미국 제약회사 모더나 백신 부작용 심근염, 심낭염, 접종 간격, 대상자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더나 백신은 55세~59세가 26일부터 접종

health.richmapnews.com

 

지금까지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증상, 사망 사례 등을 살펴봤으며, 위의 모더나 백신 부작용도 함께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